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5

밤의 해변에서 혼자, 현실과 환상의 경계에서 사랑과 현실, 그 틈에서 길을 잃다홍상수 감독의 밤의 해변에서 혼자(2017)는 사랑과 현실, 그리고 인간의 내면을 탐구하는 작품이다. 영화는 유부남 감독과의 사랑에 지친 여배우 영희(김민희)가 독일과 한국을 오가며 방황하는 과정을 따라간다. 사랑에 대한 회의와 외로움을 안고 있는 그녀는 낯선 해변에서 혼자 서성인다. 홍상수 영화 특유의 즉흥적이고 자연스러운 연출 속에서 영희는 스스로에게 묻는다. “사랑이란 무엇일까? 그 사람은 나를 진심으로 사랑했을까?” 그녀가 머무는 공간들은 물리적으로는 독일과 한국이지만, 실질적으로는 그녀의 내면을 반영하는 장소들이다. 낯선 곳에서조차 그녀는 온전히 자유롭지 못하며, 그 사랑이 끝났음에도 여전히 과거에 매여 있다. 영화는 현실과 환상을 오가며 그녀의 감정을 표현한다.. 2025. 2. 3.
하길동, 바보들의 행진, 젊음의 방황과 저항 어디로 가는가, 목적 없는 청춘의 여정하길동 감독의 바보들의 행진(1975)은 1970년대 한국 사회의 청춘을 그린 대표적인 작품이다. 이 영화는 단순한 성장 서사가 아니라, 젊은이들이 겪는 억압과 좌절을 담아내며, 시대적 한계를 돌파하려는 몸부림을 그린다. 주인공 병태와 영자는 자유를 찾아 떠나지만, 그들이 향하는 곳은 결국 사회의 장벽에 부딪히는 미로와도 같다. 이들은 대학에 다니지만, 강요된 질서와 규율 속에서 진정한 자유를 느끼지 못한다. 병태는 단순히 음악을 듣고 싶었을 뿐인데, 군사 정권 아래의 사회는 그마저도 허용하지 않는다. 이들이 극장에서 탄압받고, 시위에 휘말리며 방황하는 모습은 당시 청춘들이 처한 현실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영화는 병태와 영자가 무작정 기차를 타고 탈출을 시도하는 장면.. 2025. 2. 2.
이창동 시, 언어와 감성의 교차점 아름다운 순간을 붙잡으려는 몸부림이창동 감독의 영화 시(2010)는 한 인간이 언어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려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주인공 미자는 육십을 넘긴 나이에 손자를 키우며 살아간다. 그녀는 평범한 삶 속에서 새로운 감각을 찾고자 시를 배우기 시작하지만, 삶의 이면에는 무거운 현실이 도사리고 있다. 영화는 시를 통해 감정을 포착하려는 미자의 여정을 따라가며, 그녀가 겪는 현실의 무게와 감수성 사이의 충돌을 섬세하게 그린다. 미자는 시를 배우면서 사물과 순간을 새롭게 바라보려 하지만, 그녀가 마주하는 현실은 결코 아름답지만은 않다. 손자가 저지른 끔찍한 사건과 자신의 몸에 찾아온 병은 그녀를 끊임없이 현실로 끌어당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자는 아름다운 문장을 찾고자 애쓴다. 그녀가 감탄하는 작.. 2025. 2. 2.
현기증, 심리적 미스터리의 진수 어떤 여성의 미스터리, 현실을 초월한 집착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영화 현기증 (Vertigo)는 그 자체로 심리적인 미스터리를 풀어내는 대표적인 작품입니다. 이 영화는 스코티 페이건이라는 한 남자의 내면의 갈등과 집착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스코티는 경찰로서의 직무를 수행하던 중 고소공포증을 앓게 되며, 어느 날 친구의 부탁을 받고 그가 의뢰한 사건을 추적하게 됩니다. 그 사건의 주인공은 바로 마들린, 신비롭고 미스터리한 여성입니다. 영화 초반, 마들린은 단순히 신비롭고 우아한 존재로 그려집니다. 그녀는 한 남자에게 매혹적인 존재로 다가가며, 스코티는 그녀의 주변을 서서히 탐색합니다. 하지만 마들린의 신비한 행동과 감정은 단순한 여성의 매력 이상으로 스코티에게 다가가며, 점차 그의 심리 상태를 심화시키.. 2025. 2. 1.